《
만자(스와스티카-Swastika) 》
스와스티카는
대체로 불교를 상징하는 심벌로 알려져 있다. Swastika는 인도의
고대 산스크리트어 Svastika가 그 어원이며, 한자문명권 불교계는
이것을 <만>으로 부른다. 불교에서는 이 심벌을 길상(吉祥)을
나타낸 것으로 해석하고 있다. 이 심벌은 좌,우형 두 가지가 있는데,
하나는 <
>형이고 다른 하나는<
>형이다. 방향이 서로 대칭이나, 같은 의미로 사용된다.
한반도의
경우, 4세기경 불교가 서역이나 중국으로부터 전래된 이후 고려시대에는
<
>형이 주로 사용되었으나 <卍>형의 표기도 일부
발견된다. 그후 조선시대에 들어와서는 혼용하다가 <卍>형이
일반화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심벌이 한반도 불교에서 사용된
대표적 실례를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건봉사
돌기둥의
과
고려시대
불교예술품인 아미타여래의 가슴 중앙부분과 미륵하생경 변상도에 <
>이 뚜렷이 그려져 있고, 강원도 금강산에 있는 사찰로서 신라
법흥왕 7년(520년)에 창건한 건봉사의 돌기둥에는 방향이 서로
다른 두 문양이 함께 새겨져 있다.
동국대학교
박물관에 소장된 15세기 조선 초기에 그려진 묘법연화경 변상도에
<
>형이 그려져 있는 것이 발견된다.
모법연화경
변상도의 심벌: 동국대학교 박물관 소장
한반도에 불교가
전래된 이후 신라는 불교문화가 꽃피었고 삼국을 통일한 후 고려에
패망하기 전까지 천년불교왕국을 유지하였다. 신라의 수도였던 경주에는
석굴암, 불국사, 경주남산의 불상 등 고대불교유적들이 많이 보존되어
있다.
경주
불국사의 대웅전에 불교를 상징하는 삼보도형과 스와스티카가 나란히
그려져 있다. 합천 해인사, 양산 통도사, 순천 송광사는 한반도의
대표적 사찰로서 이들을 삼보사찰이라 부르는데, 이 사찰들에는 불국사처럼
삼보도형과 스와스티카가 함께 그려져 있는 것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경주 불국사의 대웅전에 그려져
있는
와 삼보도형
15세기때 창건된 남한 남양주
봉선사의 스와스티카
오늘날
불교의 상징이 된 스와스티카의 원류를 고찰해보자.
붓다 현세 시 제자들이 불상을 만들어 예배할 수 있도록 간청하였지만
붓다는 허락하지 않았다. 붓다는 제자들에게 이르기를 "지금이나
내가 열반한 이후에도, 다른 사람이나 다른 것에 의지하지 말고 마땅히
자기 스스로가 등불이 되어 의지처가 되라"고 하였다.
즉 진리의 법(붓다의 가르침)에 의지하라는 당부였다. 붓다 사후
제자들은 붓다의 교훈을 지키기 위하여 불상 대신 붓다를 상징하는
보리수, 윤보, 삼보, 스와스티카(
) 등을 상징물로 삼아 예배하였다. 이러한 종교의식에 사용된 불족석(佛足石)이
간다라에서 출토되었는데, 그 발가락 부분에 스와스티카(
)가 새겨져 있다.
붓다 사후 불교문화를 크게 발전시킨 시대를 든다면 기원전에는 아소카왕조
시대, 기원후에는 굽타왕조 시대라 할 수 있다. 굽타왕조 때 인도
중부지역 데칸고원에 건축된 아잔타 석굴사원은 인도 미술사의 대표적
유물로 간주될 뿐 아니라 세계미술사에서도 그 찬란한 미술적 가치를
인정받아 세계문화유산으로 보호되고 있을 정도이다. 이 아잔타 석굴사원에
보존되어 있는 불족도(佛足圖)와 석굴벽에 스와스티카가 그려져 있다.
패샤 위르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불족석에 새겨진 스와스티카와 윤보
티베트 서쪽에 위치한 카일라스 산은 불교,
힌두교, 자이나교, 뵌뽀교(티베트에 불교가 들어오기 전의 토속종교)의
성지이다. 이 종교들의 신자들은 죄의 업을 정화하기 위해 카일라스
산을 순례한다. 이러한 순례를 할 때 불교, 힌두교, 자이나교 신자들은
시계방향으로 돌고, 뵌뽀교 신자들은 반시계방향으로 돈다. 이 뵌뽀교의
상징도 스와스티카이다.
스와스티카는
불교에서 붓다를 상징하는 것으로 붓다 그 자체를 의미하기도 한다.
그런데 불교사전을 살펴보면 아주 흥미로운 사실을 발견할 수 있는데,
스와스티카를 표현하는 4가지 형태 중에 기독교에서 <예수>를
상징하는 십자가와 동일한 모양이 있다.
더욱 흥미로운 사실은, 기독교사전을 조사해보면 십자가를 표현하는
4가지 형태 중에 불교에서 사용하고 있는 스와스티카와 동일한 모양이
있다. 즉, 십자가와 스와스티카는 기독교와 불교 양쪽에서 모두 종교적
심벌로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붓다를
상징하는 스와스티카와 예수를 상징하는 십자가의 심벌이 왜 동일한
형태일까?
인도 고대문명을 살펴보면, 스와스티카는
불교가 독창적으로 창안한 심벌이 아니라 선대 인도문명에서 전수되었음을
알 수 있다. BC 1500년경 중앙아시아에서 인도로 유입한 아리안
족은 인도 토착민인 드라비다족을 밀어내고 토착화하여 베다문명을 발전시켰다.
베다신앙의 태양과 불을 상징,
비슈누신을 상징
기원전 6세기경 창시된 불교는 그 이전부터
전래된 아리안족의 베다교 입장에서 보면 일종의 개신교였다. 그러므로
불교사상의 많은 부분에 베다교의 색채가 베여있음을 발견할 수 있다.
베다신앙을 가진 아리안족에게 스와스티카는 태양과 불의 상징이었으며
또한 행운을 나타내는 상징으로서 그들의 가장 오래된 심벌 중 하나였다.
그러나
아리안족이 인도로 유입되기 이전에 번성한 인더스문명시대(기원전 28세기~15세기)에도
스와스티카가 인장에 사용되거나 데라코타 등에 도형된 것이 인더스
고대유물에서 발견된다. 인도의 힌두교 사원에서 <
> 심벌을 보는 것은 쉬운 일이다.
뉴델리 힌두사원의 스와스티카
그러므로 불교의 만(
)과 기독교의 십자가(十)는 인도 고대종교인 베다신앙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특히 베다신앙을 근본으로 하고 있던 브라만교는 BC 6세기경
불교가 대두하게 되자 힌두교라는 개선된 종교로 발전하였으며, 나중에는
불교신앙까지 흡수하는 데 성공하였다. 물론 인도에는 전통적인 브라만교도
여전히 전수되고 있다.
오늘날
인도 인구의 90%가 힌두교를 신봉하고 있는데, 종교사적 관점에서
본다면 힌두교는 베다신앙의 연속성을 유지한다고 할 수 있다. 힌두교에서
비슈누는 최고신으로 우주를 유지하고 빛과 선을 대표하며 하늘나라의
왕으로 불린다. 아리안 족은 비슈누를 그들의 영웅적 신으로 신봉하였다.
비슈누란 기독교에서 창조자<하나님>을 무소부재자로 여기듯이,
일반적으로 <무소부재자>로 번역하고 있다. BC 6세기경
불교와 거의 동시대에 창시된 자이나교의 상징 또한 스와스티카이다.
다음은
인도대륙 이외의 지역에서 사용되었던 스와스티카에 대해 살펴보자.
BC 4세기경 알렉산더대왕의 인도침공으로 그리스문명이 북인도로 유입되어
불교문화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그리스문명은 인도뿐 아니라 유럽문명에도
많은 영향을 주었다.
그러나 그리스문명이 형성되기 전, BC 8세기 이전에 이미 그리스에는
아르카익(‘원초적’이라는 의미)문명이 찬란하게 발달하였는데, 이
시대의 신전 건축물과 유물(인물상 및 항아리)들에 스와스티카가 도형되어
있음이 발견된다(아테네 국립고고학박물관 소장). 또한 그 후대에
건축된 그리스 신전의 기둥이나 기초석에도 스와스티카가 조각되어 있다.
그리스의
12신들 중 가장 존경받는 신인 태양신 아폴로의 가슴에 스와스티카
심벌이 있다. 현대 그리스 역사학자들은 스와스티카를 “생명과 중심과
융합”을 뜻한다고 해석하여 <감마니온>이라고 호칭하고
있다.
유대교는
시나고그라 부르는 회당에서 그들의 신 야훼에게 예배하였다. BC
1500년경에 세워진 유대교 시나고그의 뜰에 스와스티카가 도형되어
있는 것이 발견되었다.
중국대륙도 예외는 아니다. 중국 고대의
항아리에 스와스티카가 도형되어 있다. 특히 중국의 마오족은 이 심벌에
농작물의 풍작을 가져다주는 에너지가 있다고 믿고 귀중하게 사용하였다.
고대중국의 항아리
《 북티베트의 고대 <신누우>의 신화 》
신누우는 중국북부에 놓여있는 곤륜산맥 남쪽과 현재는 사막으로 변해버린
북티베트 지역에 살고 있었다. 누우족은 오래전에 중국에 의해 점령되어
멸망한지라 전설상의 존재에 지나지 않았는데, 1725년 프랑스의
뒤빠르끄 신부가 누우족의 폐허를 발견한 후 세상에 알려졌다.
뒤빠르끄 신부는 아프리카의 고대도시 짐바웨의 외돌기둥과 같은 형태의
외돌기둥, 3단 피라밋, 궁전 등을 발견하였다. 그후 1854년
프랑스인 라토르가 누우 유적지에서 갑옷, 청동그릇, 금은제 장식
등을 발굴했는데, 그 유물들에는 <
>문양과 은하소용돌이 문양이 새겨져 있었다.
인디언(아메리카원주민)들도 이 심벌을
사용하였는데, 고대인들은 대개 태양이나 불의 신을 상징하는 것으로
<
>심벌을 사용하였다.
지중해
키프로스 섬에서 발굴된 고대그리스의 도자기에 이 심벌이 그려져 있는
것이 발견되었다. 프랑스에서 발굴된 청동기시대의 장식품과, 프랑스
중부 로트현의 몽티냑크 읍에 선사시대의 것으로 판명된 라스코(LASCAUX)
동굴벽화에도, 아일랜드의 십자가에도 <
> 심벌이 새겨져 있으며, 독일에서 출토된 무기에도, 중세의
화가 라파엘의 그림에도 이 심벌이 그려져 있다.
7세기의
인도 승려로서 티베트 국왕의 초청을 받아 티베트불교를 완성한 고승
파드마삼바바의 저술 <사자의 서>에 다윗의 별과 스와스티카가
합성되어 그려져 있다. 또한 티베트의 사원 경내 바닥에 옥(Jade)으로
<
> 심벌이 박혀 있다.
티벳트의 사자의 서
티벳트 사원내
아프리카 가아나 공화국에서 그 기원을
알 수 없는 고대저울에 <
>의 문양과 나선문양이 발견되었다. 현대에 들어와서는 미국
보이스카웃의 심벌로 스와스티카가 사용되었으나, 1930년대에 히틀러가
스와스티카를 <하켄크로이츠>로 사용하자 중지하였다. 또한
기독교계에서도 히틀러 등장 이후 스와스티카의 사용을 중지하였다.
미국 보이스카웃 문양
1980년 이후 영국 윌트셔 주의 고대
선사유적지 스톤헨지 근처의 밀밭에는 도저히 인력으로 만들어졌다고
볼 수 없는 다양한 미스터리서클들이 출현하여 전 세계에 센세이션을
불러 일으켰다. 특히 1990년대에 들어와서는 DNA나선형과 같은
과학기호, 종교심벌, 기하학적 문양, ET 모습 등의 미스터리서클들이
나타났는데, 그중에는 스와스티카도 포함되어 있어 미스터리서클 연구가들에게
상당한 관심을 불러일으킨 바도 있었다.
자의 미스테리서클
스와스티카는 일부 종교의 심벌일 뿐만
아니라 지구행성의 여러 문화권에서 이미 오래전부터 태양, 불, 에너지,
하늘의 신 등의 의미로 숭배되거나 사용되어온 긴 역사를 지녔음을
이해할 수 있다. 1996년 과학 매거진 <사이언스>에
다음과 같은 내용이 소개되었다.
“브라질의
아마존 밀림에서 1만년 내지 그 이상의 것으로 추정되는 암각화가
거대한 암석에 정교하게 새겨져 있는 초고대 유적지가 발견되었다.
이 암석에 동물, 사람, 천문학, 기하학적 기호와 바퀴 같은 빛살원형물체가
비선을 그리며 날아가는 그림이 스와스티카와 함께 새겨져 있다. 브라질
밀림지대인 아마존에 있는 카베르나 데 페드라 핀타다를 탐사하다가
몬데 알레그데 근처에서 이 유적을 발견하였다.”
남미
파나마 군도의 원시림에 생존하고 있는 쿠사족은 현재도 <
>을 종족 심벌로 삼고 깃발에 그려 넣고 있다.
아마존의 1만년전 암각화
속의 스와스티카
<
달비라의 "심벌의 이동"에서 발췌 >
태양신 아폴로와 감마니온
고대인도의 동전에 새겨진
스와스티카
스코트랜드의 스튜아트왕가의
석상의 스와스티카
고대에 사용했던 스와스티카의
심벌들
11세기에 건축한 우크라이나의
성소피아 성당에 스와스티카가 새겨져 있다